K1A1 전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1A1 전차는 대한민국 육군이 운용하는 전차의 개량형이다. 2012년 10월 9일 K1A1 전차의 개량형이 출고되었으며, 전자전 성능이 개선되고 조종석 관찰 카메라, 피아식별 장치, 냉방 장치, 네트워크 연결, GPS 내비게이션 등이 추가되었다. 2013년 7월 K1A2라는 제식명을 부여받고 초도 양산이 결정되었으며, K-1E1과 K1A2는 NBC 방호 및 에어컨, 양압장치 등이 개선되었다. 2024년에는 K-1 전차와 K-1E1 전차가 K-1E2로 개량될 예정이다. K1A1 전차를 기반으로 K600 전투공병전차가 개발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전차 - K1 전차
K1 전차는 북한의 T-62 전차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과의 협력으로 개발된 대한민국 육군의 주력 전차로, 105mm 강선포와 유기압 현수장치, 국산 복합장갑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개량형과 문제점이 존재한다. - 대한민국의 전차 - K2 흑표
K2 흑표는 대한민국 육군의 주력 전차로, 1999년부터 개발되어 2014년에 실전 배치되었으며, 3명의 승무원이 탑승하여 1,500마력 엔진으로 시속 70km/h의 속도를 내고, 120mm 활강포와 자동 장전 장치, C4I 기능 등을 갖춘 전차이다. - 3세대 전차 - 아리에테
아리에테는 이탈리아 육군이 운용하는 3세대 주력전투전차로, 120mm 활강포와 복합 장갑, 우수한 화력통제시스템, 1,300마력의 엔진을 탑재했으며, 현재 수명 연장을 위한 현대화 개량 사업이 진행 중이다. - 3세대 전차 - K1 전차
K1 전차는 북한의 T-62 전차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과의 협력으로 개발된 대한민국 육군의 주력 전차로, 105mm 강선포와 유기압 현수장치, 국산 복합장갑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개량형과 문제점이 존재한다.
K1A1 전차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주력전차 |
형식명 | K1A1 |
용도 | 대전차전 |
개발사 | 현대로템 |
배치 | 2000년 |
개발년도 | 1995년 ~ 1997년 |
생산 기간 | 1998년 ~ 2010년 |
실전 투입 | 없음 |
개량형 | K1A2 |
계열 차량 | K-1 AVLB, K-1 구난전차, K-1 미클릭 탑재차량, K-600 신형 전투공병전차 |
생산량 | 484대 |
제원 | |
승무원 | 4명 |
길이 | 9.71 m |
높이 | 2.25 m |
폭 | 3.59m |
중량 | 53.2 ~ 54.5 ton |
무장 | |
주무장 | KM256 120mm 활강포 (K-1A1) |
사용 포탄 | APFSDS-T, HEAT-MP, HE-FS |
탑재량 | 32발 |
사통 장비 | KCPS (삼성 탈레스*현 한화 탈레스) (K1A1) |
유효 사거리 | 3.500 m |
장전 방식 | 수동 장전 |
부무장 | M2HB 중기관총, K6 중기관총, M60D 기관총, M60E2-1 동축기관총 |
기동 | |
엔진 | 수랭식 4행정 디젤엔진 (MTU Mb871 Ka-501) |
마력 | 1200 hp |
출력비 | 23.5hp(K1), 22.0hp (K1A1) |
현가 장치 | 토션바 - 유기압식 하이브리드 현수장치 |
노상 속도 | 65km/h(K1), 60km/h(K1A1) |
야지 속도 | 40 km/h |
항속 거리 | 550km(K1), 500km(K1A1) |
변속 | 전진 4단, 후진 2단 (ZF LSG 3000) |
등판 능력 | 60도 |
장애물 통과 | 1.0 m |
도하 능력 | 2.2m (도하키트 장착시) |
방호 | |
전면 장갑 | 고강도 강철구조물과 복합장갑재로 충전된 복합장갑 |
측면 장갑 | 고강도 강철구조물과 복합장갑재로 충전된 복합장갑 (공구상자 포함) |
상부 장갑 | 고강도 강철구조물과 복합장갑재로 충전된 복합장갑 |
방어 수단 | 연막탄 발사기 |
장갑 방식 | 복합장갑 |
2. 개량형
2012년 10월 9일 K1A1 전차의 개량형이 출고되었다. 이 개량형은 기존 K1A1보다 전자전 기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대한민국 언론에서는 'K1A2'로 불렀으나 2013년 7월 K1A2로 제식명이 부여되었다.[2] 이후 NBC 방호 기능이 개선되었다.[3]
2018년 현재 K1A1 전차를 기반으로 신형 K-600 전투공병전차가 개발 중이다. 2024년에는 K-1 전차와 K-1E1 전차가 K-1E2로 대규모 개량될 예정이며, 이와 함께 K1A2 전차도 양압장치 등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
2. 1. K1A2
2012년 10월 9일 K1A1 전차의 새로운 개량형이 출고되었다. 기존 K1A1보다 전자전 쪽이 대폭 개량되어, 조종석 전후 관찰 카메라, 피아식별용 수신기, 포수·전차장용 디스플레이가 추가되었고 냉방장비가 개량되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과 GPS 이용 내비게이션 기능도 추가되었다.[2] 대한민국 언론에서는 이를 'K1A2'로 불러 논란이 되었으나, 2013년 7월에 정식으로 K1A2 라는 제식명을 부여받고 초도 양산이 결정되었다. K2전차의 파워팩 양산이 미진한 관계로 우선 초도 생산을 한 뒤 2014년 5월에 수도기계화보병사단에 배치되었다. 이후 NBC 방호 기능이 개선되었다. K-1E1(K-1 전차의 개량형)과 K-1A2는 2015년 국정 감사 때 에어컨과 양압장치가 빠져서 논란이 되었고, 그 이후에 창정비되는 전차부터 양압장치와 에어컨이 적용되었다.[3]2. 2. K1E1
2015년 국정 감사에서 K1E1(K1 전차의 개량형)과 K1A2 전차에 에어컨과 양압장치가 없다는 점이 논란이 되었다. 그 이후 창정비되는 전차부터는 양압장치와 에어컨이 적용되었다.[3]2. 3. K1E2
2024년에 K-1 전차와 K-1E1 전차는 대규모 창정비(리빌드)를 거쳐 K-1E2로 개량될 예정이다. 이때 양압장치, 파워팩 성능 개선(혹은 1500마력 엔진 교체) 등 대폭 개량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비슷한 시기에 K1A2 전차도 양압장치 등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3]3. 파생형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단계의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현대로템 주요연혁 1970 ~ 1990년대
https://www.hyundai-[...]
[2]
뉴스
https://news.naver.c[...]
[3]
뉴스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